Linux2013. 6. 9. 20:00

가끔 Windows에서 압축한 파일 내부에 한글로 된 이름의 파일이 들어있을 경우, 리눅스에서 일반적인 압축 해제 툴로 열어보게 되면 파일명이 다 깨져보일 수 있다.


일단 압축을 푼 후 일일이 이름을 바꿔줄 수도 있지만, 터미널에서 압축을 풀면 쉽게 해결 가능하다.


터미널을 열고 unzip -O cp949 [파일명] 으로 압축을 풀면 된다.


-O 옵션과 -I 옵션은 다음처럼 설명되어 있다.


  -O CHARSET  specify a character encoding for DOS, Windows and OS/2 archives

  -I CHARSET  specify a character encoding for UNIX and other archives


Jzip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압축해제를 위해 너무 많은 툴이 있는것도 조잡해 보일 수 있으니 위의 방법을 쓰도록 하자.

터미널을 열기 귀찮다면 jzip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한영키와 HUD키 충돌  (0) 2013.06.20
iconv 사용  (0) 2013.06.12
뭔가 불편한 weechat  (0) 2013.04.24
screen session명 변경  (1) 2013.04.17
리눅스 호스트명 변경  (0) 2013.04.17
Posted by Tanto
Et cetera2013. 5. 4. 23:37

Coursera 라는 사이트가 있다. 한 줄로 요약하자면, 전세계 대학의 강의를 무료 수강할 수 있는 사이트!


물론 등록된 강의만 들을 수 있다. 하지만 굉장히 많은 수의 강의가 등록되어있고, 계속해서 늘어나고있다.


대학교 1학년때였나? 2학년때였나? Coursera에 가입만 해두고 정작 수업은 듣지 않았는데, 최근에 Database입문 수업을 신청해서 수강하고있다. 


아직 강의의 초반부만 수강하긴 했지만, 어쨌든 학교에서 수강신청하지 못한 과목이 coursera에서도 열린다면 여기서 대신 수강해도 될 듯하다.


coursera는 과제, 시험 모두 응시 가능하고 과목마다 커뮤니티도 존재한다.


이번에 Introduction to Databases와 Computer Security 과목을 신청했는데(사실 Computer security를 들으려 들어갔지만..) Computer Security과목은 아직 수업이 열리지 않아서 Database만 듣고 있다.


열릴 예정인 강의를 신청하면 coursera에서 강의가 열릴 때 이메일로 알려준다.


어쨌든, 남아도는 시간이 있으면 공부나 해야겠다.


coursera 외에도 많은 온라인 강의 사이트가 있다고 들었다. 이런 사이트들은 보통의 인터넷 강의 수준이 아니라 실제 MIT, Stanford 등등의 이름난 대학 교수들의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아주 좋은 시스템인 것 같다.

'Et cet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절주절  (0) 2013.06.29
독수리 타자  (0) 2013.06.09
MS Word 사용시 한영 자동 변경  (0) 2013.04.30
휴대폰 젤리빈 업그레이드  (0) 2013.04.25
넋두리  (0) 2013.04.24
Posted by Tanto
Programming/Python2013. 5. 2. 00:01

요즘 이것저것 고민을 해보다가, 뭐 할만한거 없나 해서 보니 게임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물론 큐브 맞추는 알고리즘도 짤거고...


생각보다 큐브 맞추는 알고리즘은 그다지 어렵지도 않고, 그냥 맞추는게 목적이면 너무 쉽게 구현될 것 같아서 일단 제쳐두었다.


어쨌든 간단한 게임을 만들기 위해 고민해본 결과, pygame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보기로 하였다. pygame은 이름 그대로 게임 개발을 위한 python 라이브러리이다. 공식홈페이지는 [여기]이다.


pygame은 설치부터 난관이었다. 일단 windows환경에서 개발하기로 했는데, 공식 홈페이지에는 pygame 32bit msi파일 밖에 올려져있지 않아서 뭐 그냥 설치하면 되겠지 하고 설치했더니 [이 글]과 같은 상황이 계속 발생하였다.


저 글 발견하기 전까지 pygame을 몇 번을 다시 설치했는지;;;


그리고 공식 홈페이지를 다시 가보니 이렇게 적혀있었다!!ㅠㅠ



1. windows 64bit 사용자는 32bit python과 32bit pygame을 사용할 것.

2. 64bit용 pre release는 저기서 받을 수 있음.


64bit python을 사용하면서 32bit pygame을 열심히 설치하니 안될 수 밖에...

어쨌든 64bit pre release version을 다운 받아 설치했다.


그리고 설치 성공!


당분간 이걸로 장난감이나 좀 만들어보면서 공부해야겠다.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algorithm implementation  (1) 2013.06.14
날씨 가져오는 스크립트의 수정  (1) 2013.04.18
날씨 가져오는 스크립트  (0) 2013.04.17
쉬워 보이는 언어 Python  (0) 2011.12.27
점프 투 파이썬(Jump to Python)  (0) 2011.12.20
Posted by Tanto